R에는 Addins 이라는 GUI 인터페이스 기능이 있다. 2016년에 개발된 이 기능은 기존 코딩이 아닌 그래픽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많이 확장되었다. addin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.
먼저 addins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addinslist 패키지를 설치하여야 한다. 아래 명령어로 설치를 하였다면, Addins에서 Browse RStudio addins
을 클릭해보자.
install.packages('addinslist')

Browse RStudio addins
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뜨며 간략한 설명과 목록이 나타난다.

목록을 통해 손쉽게 기능들을 설치할 수 있다. 이중에서도 아래 4가지 페키지는 ggplot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한다.
esquisse : plot 생성
ggedit : 레이어, 스케일, 테마 편집
ggThemeAssist : ggplot 테마 편집
ggExtra : ggplot 통계량 이미지 추가
esquisse
해당 패키지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변수를 선택하여 ggplot 을 간략하게 생성하는 코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.
esquisse::esquisser()
esquisse::esquisser(palmerpenguins::penguins)

자료를 선택하면 View에서 간략한 자료 또한 확인할 수 있다.


팝업창을 닫게되면 아래와 같은 그림그리는 창으로 넘어오게 된다. 시각화를 진행하자.

시각화 후 code 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코드 정보를 받아 올 수 있다.

colorpicker
colorpicker를 통해 색상을 조정할 수 있는다. 위에 스크립트를 복사한 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보자.
colourpicker:::plotHelperAddin()
아래와 같이 팝업이 뜨는데 code부분을 복사한 코드로 수정하자.

이 때 scale_colour_manual이 CPCOLS로 설정되어야 색상이 변경되므로 앞서 생성된 코드인 아래 코드를 수정해서 붙여 넣자.
library(ggplot2)
p1=ggplot(ggplot2::diamonds) +
aes(x = carat, y = price, colour = color) +
geom_point(shape = "circle open",
size = 1.5) +
scale_color_manual(values = c(D = "#F8766D", E = "#BD9A00", F = "#31B425", G = "#00C19F",
H = "#20AFEC", I = "#B280FC", J = "#FF61C3")) +
theme_classic() +
theme(legend.position = "left")
수정후 코드는 아래와 같다.
library(ggplot2)
p1=ggplot(ggplot2::diamonds) +
aes(x = carat, y = price, colour = color) +
geom_point(shape = "circle open",
size = 1.5) +
scale_color_manual(values = CPCOLS) +
theme_classic() +
theme(legend.position = "left")
수정한 후 아래와 같이 색상을 선택한 후 Done을 클릭해준다.

Power Points 저장
이렇게 시각화 한 그림만을 단순히 추출하고 싶다면 Export ggplot2 plots to PowerPoints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.

ggedit
위와 같이 ggplot을 생성하였지만 색상이나 레이어를 수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ggedit을 활용할 수 있다. 아래 그림과 같이 블록을 잡은 후 ggedit을 클릭해보자.


이렇게 선택하게되면 아래와 같이 Viewer가 실행된다.

아래의 수정 작업을 마치고 난 후 p.out이 생성된다.

수정된 부분은 ggedit 클래스이므로 아래와 같이 바꿔주자
p2=p1+p.out$updatedScales
ggThemeAssist
수정작업이 끝났다면 ggThemeAssist를 통해 조금 더 디테일한 디자인을 수정을 해보자.
ggThemeAssistGadget(p2)

ggExtra
만약 추가로 분포등을 그리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히스토그램 등의 분포함수를 그릴 수 있다.
ggExtra:::ggMarginal(p3)
ggExtra:::ggMarginalGadget(p3)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