윈도우에서 USB나 HDD 등을 연결하면 C, D 드라이브 등의 하드웨어 공간이 생긴다. 이처럼 하드웨어를 인식시키는 과정을 Mount라고 한다.

파티션(Partition)이란 하드디스크의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. 파티션 장치명은 /dev/sda1 처럼 구성되는데 여기서 sd는 S-ATA 및 SCSI 방식 디스크, SSID, USB 등을 의미하며, hd는 IDE방식의 디스크를 의미한다. 아래 명령어를 통해 하드웨어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. 디스크 우선순위에 따라 아래와 같이 sda, sdb, sdc 순서로 진행이 된되며, 파티션의 번호에 따라 1, 2, 3 순으로 진행이 된다.

저장장치 목록 확인

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저장장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다.

fdisk -l

swap : RAM이 부족할 경우 사용되는 영역으로  파티션 분할을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툴을 쓸 수 있는데 fdisk, parted, cfdisk, sfdisk, kpartx 등이 가능하다.

Mount 관련 정보 확인

blkid를 통해 Mount에 필요한 UUID와 TYPE을 제공해준다.

재부팅시 자동 마운트되게 설정

UUID를 복사한뒤 vi /etc/fstab 명령어를 수행한뒤 맨 밑에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하자.

UUID="복사한 UUID내용" /파티션경로 타입 defaults 0 0

아래 명령어를 통해 mount를 적용하고 df -h를 통해 잘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하자.

sudo mount -a

df -h

NAS 연결하기

NAS(Network Attached Storage)는 LAN으로 연결하는 스토리지의 개념이다. 똑같이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재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.

vi /etc/fstab

옵션으로 아래와 같이 유저명 비밀번호 등을 줄 수 있으며, 끝에 2개 0은 dump실행 안함무결성 체크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.

//192.168.0.1/경로 /연결경로 cifs    user=유저명,pass=비밀번호,rw      0       0
//192.168.0.1/경로 /연결경로 cifs    user=유저명,pass=비밀번호,file_mode=0777,dir_mode=0777      0       0

NVME UUID설정

NVME 는 바로 UUID 가 생성이 안되 는 것 같았다. ext4 포맷이 아니라 그런 것 같은데 아래 명령어로 변경하면 되는 것 같다.

sudo fdisk /dev/nvme0n1
# d : 파티션 삭제, n : 파티션생성 , w : 저장

#ext4 가 아닌 xfs 포맷이라면 mkfs.xfs 로 변경
sudo mkfs.ext4 /dev/nvme0n1p1
sudo blkid
Ubuntu 에서 NVMe M.2 ssd 파티셔닝과 포맷 방법
NVM2 M.2 SSD를 우분투에서 파티셔닝과 포맷을 진행하고 부팅 시 자동마운트 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. (Ubuntu 16.04 기준) 1. NVMe M.2 ssd를 슬롯에 장착한다. 2. 부팅 후 ssd가 잘 장착되었는지 확인한다.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