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AML Header
기본파일의 YAML Header 부분은 아래와 같이 title와 output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. title은 제목을 의미하는 부분이며 output은 파일의 출력형태를 의미한다. HTML외에도 PDF와 Word를 지원한다. html_document 대신 pdf_document로 변경하면 가능하며, 생성할 때에 설정하여도 된다.

그외 옵션 설정
아래는 최종적으로 내가 설정한 옵션이다. 이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.

아래는 위 코드에 대한 실행 결과이다. 목차와 관련된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.

목차 관련
toc
은 Table of Contents의 약어로 목차의 개념에 해당한다. 따라서 해당 옵션에 True를 주게되면 Markdown 문서의 단계별로 알아서 목차를 생성하게 된다. toc_depth
는 목차를 어디까지 생성할지 깊이를 정하는 것으로 3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3단계까지 출력을 하게 된다. toc_float
옵션을 True로 하게되면 목차의 위치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스크롤을 아래로 움직이면 따라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. number_sections
의 경우 1, 4.1, 4.1.1 과 같이 자동으로 숫자를 생성해주는 옵션이다.

코드 출력 및 다운로드
code_folding
옵션은 show와 hide 두 종류로 옵션을 줄 수 있는데, Code Chunk에서 실행 스크립트를 보여줄 것인지 말것인지를 의미한다. code_download
옵션은 Rmd파일을 download 받는 버튼을 생성할지를 의미한다.
테마
테마의 종류는 다양하며 링크를 참조하여 사용하면 된다. 사용법이 위의 기본형태와 다른 경우도 존재한다. 예를들어 https://github.com/juba/rmdformats 의 테마를 선택하려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하여야 한다.


표 출력 형태 설정
df_print
옵션은 표의 형태를 설정하는 부분이다. 표 출력형태를 바꾸고 싶다면 참고해당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.